레이아웃, 구조가 중요한 이유
사진: 콘텐츠를 보는 시청자가 시간을 결정, 중요한 정보는 더 오래보고 불필요한것은 스킵
영상: 샷(shot)이라는 단위로 만들어진 이미지 정보가 시청자에게 제한된 시간에 계속 제공된다.
강조점을 설정해서 전달하고 싶은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시청자의 인지점이 어떤 방향으로 흐르는지, 어떻게 하면 주제부를 강조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많이 필요하다
Layout Process
레이아웃이 모션으로 구조화 되면 어떻게 달라지는가 (맥락에 대한 고민을 계속하자)
모든 매체에는 시선을 유도하는 구성요소가 있다
편집물의 리딩라인, 영상의 리딩 오브젝트
어디로 시선을 유도할 것인가: 어떤 요소를 어떻게 강조할 것인가??
오브젝트의 크기, 위치, 색깔
- Sketch(레퍼런스 기준의 스케치, 무작정 프로그램을 키면 안댐)
- 로고, 타이틀과 나머지 스크립트에 통일감 주기: 서체, 디자인 요소의 통일 다 대문자로 바꿔서 자간 행간 조정
- 앞줄맞춤
- 줄간격 (서체 비율 활용, 메인서체의 절반만큼 띄우는 등)
- 강조점: 색상, 패밀리 서체(Bold)
Focal Element - Structure - Balance
흥미를 끄는 한가지 분명한 요소를 규칙에 따라 배열하므로써 시각적 중량의 균형을 이룬다.
Main Object
- High Contrast
- Saturation
- Camera Focus
- Motion
- Faces or Figures
강조점 설정
- Guide Line
- Framing: 프레이밍을 얼마나 창의적으로?(안경, 유리잔, 신체의 일부)
안정적인 구도(목적에 따라 변형되는 레이아웃)
예쁘기 이전에 목적성을 충족시켜야한다(정보의 위계를 계속 신경써야함)
- Rule of third: 만능은 아니지만 모든 구도의 기본이 된다(출발점)
Step1 인지점을 통한 정보 위계 설정
Step2 수평선 지평선 등의 공간 설정
Step3 Breath Space를 통한 긴장감 완화
Step4 객체의 흐름(Flow)와 시선에 따른 자연스러운 연출
가로 8 * 세로 6 더 세부적인 그리드도 도움이 되기도 한다
-
Golden Ratio
-
Pyramid
-
Symmetry
-
Full Frame(Crop)
시각적 균형
- Size
- High Contrast
- Saturation
- Faces or FIgures: 시선처리
title safety
action safety
가이드 활용 - New - Video&Flim
View - New Guide Layout - Columns Number : 2
ctrl+shift+c: Merged Copy
일관성
'[To Be Artist] > 디자인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아웃 연습_0719 (0) | 2020.07.19 |
---|---|
레이아웃 연습 _ 0716 (0) | 2020.07.17 |
타이포_레이아웃 연습 (2020-07-14) (0) | 2020.07.15 |
Typography Part.1 (0) | 2020.07.14 |
영상의 구조 Part. 1 (0) | 2020.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