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가 제작물이나 자료를 통해 받아들이는 인상은 사용하고 있는 사진이나 그래픽 뿐만 아니라,
서체의 종류나 무자의 배치 등에 따라서도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읽기 편한 문자>도 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 가운데 하나다.
001 문자의 서체와 기본
독자가 제작물이나 자료로부터 받아들이는 인상은
사용하는 서체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그렇기 떄문에 독장체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나 인상이 무엇인지에 따라 적절한 서체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한글: 고딕체/ 명조체
영어: 산세리프체/ 세리프체
고딕체는 문자 획의 굵기가 거의 균등하기 때문에 시인성이 높고, 안정감 있는
명조체는 문자 획의 굵기에 강약의 변화가 있기 떄문에, 가독성은 조금 약하지만 엄격해보이는
진중한 느낌을 준다.
002 서체의 종류
명조체/ 세리프체의 특징
명조체, 세리프는 획의 끝에 세리프라고 불르는 장식이 있고, 가로 획보다 세로 획이 굵은 서체의
총칭이다.
명조체/세리프는 전체적으로 깔끔하게 보이기 위해 작아도 가독성이 뛰어나다. 그래서 신문이나 교과서 등의 긴 문장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명조체/ 세리프체가 주는 인상
한글의 명조체나 영문의 세리프체는 독자에게 주로 <권위적>,<역사적>,<품격>등의 인상을 준다.
이런 인상은 글자의 굵기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획의 굵기에 따라 세리프가 주는 인상
<엄격,강력,설득력,남성적,역사적> - - - - - - < 유연, 품격, 중성적, 도시적, 신뢰감 모던>
(획이 굵다) (획이 얇다)
고딕체/산세리프체의 특징
고딕, 산세리프는 가로 획, 세로 획의 굵기가 균일한 서체의 총칭
<검게>,<눈에 띄게>보여 작아도 높은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
강조하고자 하는 타이틀이나 중간 제목 등 다양한 그래픽 작업, 웹 디자인은 물론, 공항이나 공공시설
시안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고딕체/ 산세리프체가 주는 인상
<안정감><강력한><튼튼한><무기질><중후함> - - - - - - - - <밝은><섬세한><여성적><도시적>
(획이 굵다) (획이 얇다)
003 서체의 개성을 파악해두자
서체에는 개성이 있다
서체는 크게 고딕(산세리프)과 명조(세리프)로 구별할 수 있지만. 같은 고딕과 명조라도 서체에 따라 개성이 다양하다.
서체의 인상 차이
품이 좁거나, 글자 면적이 좁은 서체에서는 붓글씨의 느낌이 가하게 살아난다; 격식을 갖춘 느낌
한편, 품이 넓고 글자 면적이 넓은 서체에서는 현대적이고 캐주얼한 인상을 받게 된다
이런 경향은 고딕체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영문 서체의 인상차이
베네치안: 캘리그라피의 흔적이 강하고, 글자의 기울기가 있다
Adobe Jenson Pro, ITC Legacy Serif
올드 페이스: 베네치안보다는 굵고 가는 획의 강약이 심하다
Garamond, Galliard
트레디셔널: 올드 스타일과 모던의 중간 서체
Caslon, Baskerville, Times
모던 페이스: 세리프 부분이 극단적으로 가늘다
Didot, Bodoni
<추천폰트> (이쁨)
Baldive 스크립트
BebasNeue 산세리프
Canvas 세리프
Defgikserif 세리프
Emberly 산세리프
Kate 세리프
Metridat 세리프
Mont 산세리프
Montserrat 산세리프
Morganite 산세리프
Playfair_Display 산세리프
Roboto 산세리프
Roboto_Slab 산세리프
Soulmaze 산세리프 (푸투라 닮음)
서체를 이미지별로 카테고리화해두면 감각에만 의존해서 서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의 인상에 맞춰서 적절한 서체를 선택할 수 있다.
X축: soft - sharpen
Y축: 손 글씨 느낌(격조높은) - 기하학적인(친근한)
004 지나치게 많은 서체를 사용하지 않는다
하나의 지면에 사용하는 서체의 종류를 엄선하면 지면 전체에 통일감을 줄 수 있고, 완성도를 높힐 수 있다.
우선은 2~3종류로 엄선한다
성격이 비슷한 서체로 2~3종류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강조와 조화의 균형감이 중요한다
사용하는 서체의 종류를 줄이면 통일감이 생기지만, 전체적으로는 변화가 없어 재미없는 디자인이됨
정보의 차이가 없이 전달된다는 단점(정보에 위계를 부여하지 못함)
<강조와 조화의 균형감이 중요하다>
예를들어 타이틀이나 일시, 장소 등의 강조하고 싶은 요소에는 고딕체를 사용하고
해설문의 읽어야만 하는 요소나 중간제목등은 (패밀리)서체를 이용해서 강조하면 좋다.
'[To Be Artist] > 디자인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yout & Composition (0) | 2020.07.15 |
---|---|
타이포_레이아웃 연습 (2020-07-14) (0) | 2020.07.15 |
영상의 구조 Part. 1 (0) | 2020.07.11 |
영상의 원리와 구조 (0) | 2020.07.09 |
Orientation (0) | 2020.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