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의 역사

회화나 사진과 달리 영상에는 시간이라는 함수가 존재한다.

원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편집물과는 달리

시간이 흘러감에따라 정보가 뿌려지는 형태의 매체

정확한 템포에 정확한 내용이 보내지는 것이 중요하다.

 

뇌는 세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센서(인지의 영역), 단기기억 - 창조, 조립, 데이터, 경험

Problem - Observation - Creative

 

기억을 기반으로 인지가 이루어지고 인접한 상황들을 조립해서 사고하게 된다(레드 쿨레쇼프의 실험)

병렬편집(여러 상황축을 동시에 보여주는 편집)의 시작

*연결된 장면들은 제3의 의미를 만들어 낸다; 조립을 통해 상황을 만든다

 

Edwin Stanton Porter: 영상편집의 시작

초기에 단순히 흥미로운것들을 원테이크로 촬영하던 작가들

영화산업의 미래에 부정적이였던 당시의 사람들(편집적요소가 없는 영상들이 따분하기 때문)

 

에드윈포터는 장면을 나눔으로써 이야기를 창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편집의 발명은 새로운 언어를 만들었다.

 

에드윈 포터: 상황축

에이젠 쉬타인: 몽타주

그리피스: Rule of Third

 


영상은 방향성을 가진다(물리적으로)

영상을 진행할때는, 관객이 지금보고 있는 것이 영상이라는 것을 잊을 수 있도록

= 컷의 전환이 이야기의 전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성해야한다.

 

D.W. Griffith 컷을 잘개 쪼개는 방법의 일환으로 Close Up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고전적인 영화 편집 개념의 확립

 

줌인 전에 시작된 동작을, 줌인 후에 마무리 하는 등.

= 조형일치의 몽타주; Match Cut 

 

영화에 적용되는 원리들을 새삼스럽게 뜯어보는 것이 중요.

 - 줌인 줌아웃, 시점의 전환 전에 모션을 주거나

 - 방향을 지시하거나(방향성을 가진 여러 오브젝트를 활용 할 수 있다)

 - 비슷한 모양의 쉐입을 비치하거나

 

움직이는 장면이 이어지면 그것도 같은 속력이라면 더 확실하게,

영상은 방향성을 가지게된다.

 

움직임이 충돌하지 않게 일정한 힘으로 영상을 구성하다가

- 갑자기 쉬거나 , 폭발시키거나; 긴장과 이완을 섞는것이 연출이다.

 


연출공부 시작하기 (프리미어 컷편집 연습)

1. 오디오 소스 편집하기

 

반복되는 음악의 주제부 의 시작점을 Maker로 쪼개기(단축키:M) 

음악의 엔딩부와 자연스럽게 연결한다.

 

2. 푸티지 영상이나 여러 소스를 편집할때는 방향성을 가진 영상 Clip 들을 모으고 별도의 시퀀스 만들어 정리한다.

 - 확인중인 영상을 편집 시퀀스로 가져올때는 F버튼으로 

 - 장면전환의 공백(블랙을 걷어날때는 Ripple Edit 기능을 활용)

 

3. 영상을 편집할때 방향성을 반대로 가지게 하고싶다면 Speed & Duration에서 속력을 -값으로 Invert 가능

 

남들이 만들어놓은 릴영상을 음악에 맞게 편집하는 연습으로 시작

(Vimeo 영상들 활용, 저작권 주의; 개인 연습용도로만 활용)

 

Protect Shell: 작업을 기획하고 이어나가기 위해서, 자신만의 정리 포맷을 가지는것이 중요하다(폴더 정리구조)

1. 기획서

2. PS, AI

3. AE : 작업순서, 날짜에 맞춰서 중간과정을 남겨 저장할것, Collect File 기능을 이용해서 Source들을 모으고 아카이빙 

4. PR : 시사를 보낼때(이런식으로 할거다)

5. Source: 오리지널 이미지 보관장소

6. Render: 컷별로 Pre Compose, 하여 렌더링한 클립들(최종적으로는 프리미어에서 클립들을 취합하여 완성된다)

7. Preview: 

8. Fianl

'[To Be Artist] > 디자인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yout & Composition  (0) 2020.07.15
타이포_레이아웃 연습 (2020-07-14)  (0) 2020.07.15
Typography Part.1  (0) 2020.07.14
영상의 구조 Part. 1  (0) 2020.07.11
Orientation  (0) 2020.07.07

+ Recent posts